top of page

[2010/10/23] 박준석_아리스토텔레스의 호혜성

장소: 대우재단빌딩 8층 제3세미나실


발표자: 박준석 교수 (전북대 법학전문대학원)



지난 2010년 10월 23일 토요일 오후 3시 대우재단빌딩 8층 제3세미나실에서 한국법철학회 10월 정기독회가 있었습니다. 이 날 독회에서는 전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박준석 교수님께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호혜성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셨습니다. 각 대학별로 수시면접이 치러져서 그런지 이번 독회에는 상대적으로 그리 많지 않은 회원님들께서 참석하셨습니다. 그렇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독회가 더욱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 같습니다. 상당히 흥미로운 토론이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개인적으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 날 박준석 교수님께서는 ‘호혜성’(reciprocity)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안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 치밀하게 분석해 주셨습니다. 박준석 교수님께서는 호혜성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시정적 정의’의 특별한 한 형태에 속하며, 이 호혜성은 자발적 거래뿐만 아니라 비자발적 거래에도 적용된다고 정리해 주셨습니다. 다만 ‘산술적 평등’을 지향하는 보통의 시정적 정의가 일종의 재판규범으로 기능하는데 반해, ‘비례적’ 특성을 갖는 호혜성은 행위규범의 일종으로서 거래당사자들을 구속한다고 하셨습니다. 박준석 교수님의 치밀한 분석 덕에 아리스토텔레스의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발표를 맡아주신 박준석 교수님께 다시 한 번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바쁘신 와중에서도 독회에 참석해 주신 오병선 전임회장님께는 특별히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다음 독회는 2010년 11월 27일 토요일 오후 3시에 역시 대우재단빌딩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11월 독회에서는 이계일 교수님께서 “법학전문대학원 체제 아래서 법철학 교육”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실 예정입니다. 이 날도 다수의 학회가 겹칠 것이라고 예상되는데, 회원님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독회담당 연구이사 양천수//연구간사 이계일 배상

조회수 7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3년 상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기경서 박사수료(서울대학교 인지컴퓨팅연구실)의 “대규모 언어모델과 ChatGPT”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3월 25일(토)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두 번째 월례독회는 전영실 선임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비행소년 현황 및 형사사법절차에서의 처우실태”라는 제목의 발표로 4월 29일(토) 온라인(Zoo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