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19/6/29] 박지윤_법의 예술

장소: 대우재단빌딩


발표자: 박지윤



인간이 법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무엇인가. 흔히 예술이 창조와 관련되는 반면에 법은 이를 규율하기 때문에 양자는 서로 대립적인 영역에 속한다고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예술을 무엇이라고 보느냐에 따라 이는 달리 생각될 수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예술이 오늘날의 개념을 갖게 된 것은 18세기에 이르러서이다. 그 전의 예술 개념은 기예에 가까운 뜻을 가지고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인간이 만들어 내는 법에도 이와 같은 기예-예술이 담당하는 영역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는 것이다. 영어 Art의 어원 중 하나는 라틴어 Ars인데, 실제로 법조문을 실천적·학술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전통적으로도 학예(ars juris)로 나타난 바 있다. 이 연구는 인간활동에서 매개되는 예술과 법의 접점을 예술의 고대 개념인 아르스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라틴어 아르스는 예술, 학예, 기예, 기술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지만, 그 개념이 무엇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에 연구는 아르스 개념을 경유하여 삶을 만드는 법, 다시 말해 삶의 예술로서의 법과 인간 활동의 관계를 다시 묻고자 한다. 주지할 것은 이 질문이 실천적인 법학 및 법철학의 향방을 묻는 것과도 분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회수 8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