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0/10/17] 김연미_문학적 법철학연구–법의 내용으로서의 비극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김연미



오랫동안 법문학에 천착해왔던 김연미 교수는 첫 번째 발표에서 소포클레스부터 괴테에 이르는 비극 문학을 법의 내용과 형식의 대립 구도로 재음미하고 ‘포괄적인 법의 비극성 이론’의 필요성과 얼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개인/국가, 자연법/실정법 등의 대립 으로 야기되는 자유의 한계, 예외상태를 내포하고 있는 인간의 운명, 그리고 법 자체의 비결정성으로 말미암아 법의 내용은 비극성을 띠게 된다. 한편, 실정법의 형식성은 예외 상태를 만들어내고 사람들을 법 밖으로 내몰아버리는 비극을 빚어낸다. 이처럼 법적 사 안에 비극성이 내재되어 있기에 이와 같은 비극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의, 법적 안정 성, 합목적성과 같은 전통적인 법의 이념만으로 부족하다. 이에 발표자는 ‘포괄적인 법의 비극성 이론’을 통해서 법의 이념을 ‘사랑’으로까지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발표자는 법의 권위의 실체를 ‘행동 모방이라는 미메시스적 차원’, ‘스토리텔링이 라는 뮈토스적 차원’, ‘청중의 설득이라는 카타르시스적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포괄적인 법의 비극성 이론’에 관한 발표자의 향후 연구가 기대된다.

조회수 14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