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0/11/27] 박정미_혈통에서 문화로? - 가족, 국적, 그리고 성원권의 젠더 정치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박정미 교수 (충북대 사회학과)



지난 11월 21일에 열렸던 2020년도 하반기 세 번째 월례독회는, ‘젠더와 성의 사회학’ 과 ‘역사사회학’ 분야에서 꾸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다양한 젠더 이슈를 비판적 으로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온 사회학자 박정미 교수(충북대 사회학과)의 최신 연구 발표와 토론으로 꾸려졌다. 박정미 교수의 “혈통에서 문화로? - 가족, 국적, 그리고 성원권의 젠더 정치”1)라는 제하의 발표를 통해 ‘법적 성원과 일상적 성원권의 간극’과 ‘(부계)혈통주의와 가족 출산’에 대한 날카로운 사회학적 분석을 듣고 배움을 얻을 수 있 는 시간을 가졌다.

발표자는 한국 정부가 1950~1980년대까지 펼쳤던 ‘배제 프레임’의 ‘혼혈인 정책’을 1990년대 이후 ‘통합 프레임’의 ‘다문화가족 정책’으로 전환한 배경을 실증적으로 추적 하고, 미셸 푸코의 이론을 차용하여 두 정책의 계보를 분석해봄으로써 “‘혼혈인’ 정책은 ‘사법적-규율적 체계’인 반면, 다문화가족 정책은 ‘통치성’의 특징을 지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한편 발표자는 이처럼 성격이 다른 두 정책의 근간을 “부계제, 법률혼주의, (부계)혈통주의라는 동일한 성원권 구조”라고 지적하고, 이와 같은 성원권 정치는 “가족 계보, 민족 혈통, 그리고 국적을 남성의 생식력으로 귀속시키는 가부장제적 법률에 기초 했다는 점에서” 젠더 정치라고 평가했으며, 나아가 성원권의 서열화를 야기하는 ‘성원권 의 젠더 정치’의 근본적 변형 필요성을 주장했다. 발표자와 참여자들이 함께 한 자유토론은, 푸코의 ‘규율’과 ‘통치성’ 개념의 구분과 분리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한국 사회에서 가족에 대한 통치성 시대의 연원, 성원권 서열화의 근간으로 지적된 부계혈통주의와 법률혼주의의 관계, 혼혈인 정책과 다문화가 족 정책의 연속성과 단절성에 대한 논의와 법과 사회의 상호영향력에 대한 비판으로 이어졌다.

조회수 19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