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0/9/19] 양천수_코로나 시대의 사회적⋅법적 문제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양천수



“코로나 시대의 사회적⋅법적 문제”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한 문제와 와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법적 문제 및 그 대응 방안이 다루어졌습니다. 양천수 교수는 사회적 거리를 계기 삼아 사회의 존속⋅작동 기제로서의 소통의 의의를 새기고 (이론적 측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야기할 수 있는 이분법적 문제로 ‘안전 對 자유’, ‘안 전 對 개인정보’, ‘포함 對 배제’, ‘경제적 양극화’를 지적하였습니다(실천적 측면). 이어 발표자는 코로나가 우리에게 안긴 사회적⋅법적 문제를 ‘사회적 소통에 관한 문제’와 ‘친밀성의 위기와 생활세계의 재설계’로 나누고, 전자의 영역에서는 새로운 소통매체의 필요성, 소통매체로서의 친밀성 위기, 소통의 왜곡, 온라인 소통 환경에서의 소통의 수직 화, 소통 플랫폼 독점 등을 문제로 지적하였고, 후자의 영역에서는 친밀성의 위기 시대 를 맞아 새로운 사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인간도 진화해야 한다는 도전적 주장과 재생산 구조⋅방식 및 가족관계의 재설계라는 문제를 제시하였습니다. 발표의 말미 에서 발표자는 사회에 대한 종래의 이해를 ‘인간 중심’, ‘물리적 공간 중심’, ‘인간행위 중심’, ‘인과성 중심’으로 규정하고, 루만의 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온라인 소통의 강화 및 보호(새로운 플랫폼 개발, 소통 왜곡에 대한 규제 강화 등)가 코로나의 사회적⋅법적 문 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제시하였습니다.

조회수 7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