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1/5/29] 강태경_Law as Embodied/Extended mind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강태경 박사



5월 마지막 토요일에 열렸던 2021년 상반기 세 번째 월례독회는 강태경 박사의 발표와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법철학 전공자로서 형사정책연구원에서 근무하면서 현재는 심리

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강태경 박사는 “Law as Embodied/Extended mind”라는 제

하의 발표를 통해 ‘인지과학과 인지이론의 약사(略史)’와 ‘체화된 인지론 및 확장된 인지

론’을 살펴보고, ‘체화된 마음으로서의 법’과 ‘확장된 마음으로서의 법’이라는 주장의 가

능성과 함의를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자는 법과 심리 또는 인지에 관한 기존 연구는 법을 외재적 대상으로, 인지를 내재 적 과정으로 상정하고 있지만 인지과학과 인지이론은 1950년대 ‘인지 혁명’ 이후 인지 를 인간의 내적 과정, 특히 뇌 안에 국한하는 데카르트적 쇼비니즘에서 벗어나 인지를 내적 과정과 외적 환경의 상호작용에 분산된 역동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반-데카르트적 역동주의로 나아가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역동주의를 법이론에 수용한다면 체화된 그리고 확장된 인지(또는 마음)의 관점에서 법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으며,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법적 사고를 이해한다면 법적 사고의 은유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비성찰적 관념 을 포착할 수 있고, 확장된 인지 관점에서 법 개념을 이해한다면 배제의 위험성을 포착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발표자는 이러한 인지적 법이론의 관점은 자연화된 법철학(naturalized jurisprudence)과 실험법철학(experimental jurisprudence)에 프 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조회수 1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