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2/5/28] 김원영_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

  •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며, ‘장애문화예술연구소 짓’에서 연극배우로 활약하기도 했습니다. 지은 책으로 『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인문의학』(공저), 『희망 대신 욕망』이 있습니다.


김 변호사님은 교제나 결혼과 같은 친밀한 관계 형성은 차별적 선호에 기초한 의사결정은 매우 개인적/주관적 영역의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친밀성 차별(intimacy discrimination)은 차별금지사유에 해당하는 속성을 지닌 집단 구성원의 구체적 삶의 경험에 중대한 의미를 지니며 그들의 재생산권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에서 “성적 관계의 전제가 되는, 친밀한 관계의 형성 자체가 장애인에게 어렵다는 사실은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조회수 1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4월 30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4월 법철학 독회에서는 황두영 작가님을 모시고 ‘외롭지 않을 권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이번 독회에서는 강연자가 국회에서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 마련하였던 ‘생활동반자법안’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해 듣고 논의하였습니다. 황 작가님은 다양한 통계를 통해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한채윤 (비온뒤무지개재단 상임이사) 2022년도 상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1997년부터 현재까지 한국 성수수자 인권활동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해 온 한채윤 이사(비온뒤무지개재단 상임이사)의 발표와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한채윤 이사는 “지금, 여기 혐오에 맞서는 성소수자”라는 제하의 발표를 통해 ‘왜, 지금, 한국 사회에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