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0/10/17] 이소영_호모 파티엔스 (Homo Patiens)의 서사와 인권–황정은 소설에 대한 법문학비평

장소: 온라인 ZOOM


발표자: 이소영



동시대 소설을 법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온 이소영 교수는 두 번째 발표에서 법문학의 연구 영역을 개관하고 황정은 작가의 소설을 ‘호모 파티엔스’의 서사와 인권이라는 관점 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설 텍스트 분석을 통한 법문학 연구의 실제 과정을 보 여주었다. 발표자는 너무도 태연하게 펼쳐지는 환상이나 유의미하게 비경제적인 문체 등 의 문학적 장치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이른바 “하찮은 존재들”이 겪는 고통과 소외를 그 려내는 황정은 소설은 독자로 하여금 그들의 고통과 소외를 낯설게 보도록 만듦으로써 철학하게 추동하는 힘이 있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황정은 소설에서 언어, 즉 범주화가 내포한 폭력성을 인권과 연계하려는 발표자의 시도가 인상적이었다.


발표자와 참여자들은 자유토론에서 법의 폭력성과 한계에 대한 비판적 폭로로서의 법문 학의 가치와 다시금 법을 통해 이를 뛰어넘을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형법, 민법 등 구체적인 실정법의 서사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그리고 인간사의 비극성이 잘 드 러나는 ‘자초위난’과 ‘낙태’ 등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었다.

조회수 13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2023년 상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기경서 박사수료(서울대학교 인지컴퓨팅연구실)의 “대규모 언어모델과 ChatGPT”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3월 25일(토) 온라인(Zoom)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두 번째 월례독회는 전영실 선임연구위원(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비행소년 현황 및 형사사법절차에서의 처우실태”라는 제목의 발표로 4월 29일(토) 온라인(Zoo

2022년 하반기 첫 번째 월례독회는 오병선 교수(서강대, 명예교수)의 “공동선 지향 자유주의와 법”이라는 제목의 발표로 9월 24일(토)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열두 분이 참석하여 귀한 학문연구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해주신 오병선 선생님과 참석해 주신 회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22년 하반기 두 번째 월례독회는 강

시간: 2022년 5월 28일 (토) 2:00 오후 방식: 비대면(줌) 2022년도 상반기 마지막 법철학 독회에서는 김원영 변호사님을 모시고 “개인적 영역(The Personal Sphere)과 차별―장애인의 재생산권 논의와 관련하여”라는 제하의 강연과 토론으로 꾸려졌습니다. 김원영 변호사님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일했으

bottom of page